카테고리 없음

SSR과 CSR의 기능 및 성능 차이

next.js 2025. 3. 9. 19:36

1️⃣ 기능 차이 (Feature Differences)

기능 SSR (서버 사이드 렌더링) CSR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렌더링 위치 서버에서 HTML을 미리 생성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로 동적으로 렌더링
초기 로딩 빠름 (완전한 HTML을 받아옴) 느림 (JS 실행 후 데이터 요청해야 함)
SEO (검색 엔진 최적화) ✅ 좋음 (검색 엔진이 HTML을 쉽게 읽음) ❌ 나쁨 (빈 HTML 제공, 크롤링 어려움)
페이지 전환 속도 ❌ 느림 (새 요청마다 서버 렌더링) ✅ 빠름 (클라이언트에서 즉시 변경)
실시간 데이터 반영 ✅ 가능 (매 요청마다 새로운 HTML 생성) ✅ 가능 (클라이언트에서 API 요청)
서버 부담 ❌ 높음 (요청마다 서버가 HTML 생성) ✅ 낮음 (서버는 데이터 API만 제공)
초기 개발 복잡도 ❌ 높음 (서버에서 동적 렌더링 설정 필요) ✅ 낮음 (SPA로 쉽게 구현 가능)

2️⃣ 성능 차이 (Performance Differences)

성능 요소 SSR (서버 사이드 렌더링) CSR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초기 페이지 로드 속도 ✅ 빠름 (완전한 HTML 제공) ❌ 느림 (JS 실행 후 API 요청 필요)
첫 번째 콘텐츠 표시 (FCP) ✅ 빠름 (HTML 제공 즉시 렌더링) ❌ 느림 (JS 실행 후 콘텐츠 표시)
인터랙티브 가능 시점 (TTI) ❌ 느림 (HTML은 빠르지만 JS 실행까지 대기) ✅ 빠름 (한 번 로딩되면 인터랙션 빠름)
서버 부하 ❌ 높음 (매 요청마다 HTML 생성) ✅ 낮음 (한 번 로딩 후 API만 요청)
네트워크 요청 횟수 ✅ 적음 (완전한 HTML 제공) ❌ 많음 (빈 HTML + API 추가 요청)
SPA 전환 속도 ❌ 느림 (새 요청마다 서버 요청) ✅ 빠름 (클라이언트에서 즉시 업데이트)

3️⃣ 성능 최적화 방법

SSR 최적화 방법

  • 캐싱(Cache): 서버에서 미리 생성된 HTML을 저장하여 빠르게 제공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활용하여 정적 파일 빠르게 제공
  • Lazy Loading 적용하여 필요한 부분만 동적 로드

CSR 최적화 방법

  • 코드 스플리팅 (Code Splitting): 필요한 페이지만 JavaScript 로드
  • 서버 사이드 데이터 프리패칭 (Server-Side Prefetching) 적용
  • 클라이언트에서 상태 관리 최적화 (React Query, SWR 활용)

4️⃣ 결론: 언제 SSR과 CSR을 선택해야 할까?

상황 SSR 선택 CSR 선택

SEO가 중요한 경우 ✅ (검색 엔진 크롤링 용이) ❌ (초기 HTML이 빈 상태)
첫 화면 로딩이 중요한 경우 ✅ (서버에서 HTML 제공) ❌ (JS 실행 후 로딩됨)
대시보드 / 인터랙티브 앱 ❌ (SSR 필요 없음) ✅ (SPA로 최적)
실시간 데이터 반영 ✅ (매 요청마다 최신 HTML) ✅ (API 요청으로 최신 데이터 표시)
서버 부하 고려 ❌ (매 요청마다 서버 부담) ✅ (서버 부담 적음)

👉 SSR: SEO 중요, 초기 로딩 빠르게 해야 할 때 적합

👉 CSR: 대시보드, 인터랙티브 앱 등 빠른 사용자 경험이 중요한 경우 적합